리플 코인 Ripple
우선 리플 xrp (Ripple)을 이해하기 위해서 뒷배경을 간략하게 이해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위키피디아(Wiki)에서는 리플을 “은행들이 실시간으로 자금을 송금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겸 암호화폐이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리플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기 위해서 검색을 하지만 다른 가상화폐들에 비해서 찾아볼 수 있는 정보는 매우 한정적입니다. 또한, 정보를 찾더라도 매우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리플 및 다른 가상화폐/암호화폐의 차이점
리플코인은 앞서 언급되었듯 가상화폐의 한 종류이며 은행 간의 실시간 자금 송금 목적으로 2004년도에 처음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 Chris Larsen 과 Jed McCaleb에 의해서 전격적으로 개발이 되고 운영이 되기 시작하였습니다.(2017년). 리플은 리플 가상화폐를 개발한 회사의 이름이며 정식으로 사용되는 화폐의 명칭은 XRP로 리플코인 또는 리플(XRP)로 불리고 있습니다.
즉 리플코인이라는 화폐단위를 사용하는 하나의 암호화폐이며 네트워크 프로토콜이고 C++를 기반으로 하는 ECDSA 알고리즘 기반의 공개 블럭체인 기술 입니다. 또한, 리플은 xCurrent(은행과 은행 송금 시스템), xRapid(지급 및 결제 시스템) 그리고 xVia (Paypal과 비슷한 결제 api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존 RipplePay(리플페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해결 대안으로 나온 것이 리플(XRP)입니다. 즉, 리플은 중앙화되어 리플사에서 관리되고 XRP라는 화폐를 사용하는 가상화폐입니다.
리플 코인 및 비트 코인
비트코인과 리플코인은 가상화폐라는 큰 범주에서 같다고 볼 수 있으나, 거래 방식 및 암호화 알고리즘 방식 등 세부적인 내용에는 매우 차이가 있습니다. 리플과 비트코인의 차이점은 아래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 몇 가지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다른 방식의 알고리즘을 사용함
리플코인은 ECDSA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작업 증명을 하며 비트코인은 SHA-256 방식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는 리플의 알고리즘이 비트코인보다 우수하며, 보안성 그리고 처리 속도 또한 매우 우수하여 작업 증명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에서 약 1시간 걸리던 거래시간에 비해 리플은 약 5-10초 내로 처리가 가능함으로써 결제 시간(거래 확인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되어 작업 증명의 방식으로
중앙 개입자가 없는 개인 대 개인 거래를 지향하는 시스템이나 리플은 작업 증명에 의존적이지 않으며 리플이 관리되고 운용되는 네트워크에서 공용 원장을 이용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이를 통한 작업 증명을 하게 됩니다. 즉 중앙화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비트코인은 채굴을 통한 코인의 획득이 가능하지만, 리플은 채굴을 통한 코인의 획득이 되지 않습니다.
한동안 가상화폐 가치가 급등하면서 비트코인 채굴방법 그리고 그와 관련된 하드웨어인 그래픽카드(GPU) 가격이 폭등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이 가치는 화폐가치에 대한 초인플레이션을 야기했고 현재까지도 비트코인의 가치와 전망은 불투명한 시점입니다. 리플코인은 이와 반대로 한정적인 코인의 개수와 채굴이 불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에 다른 가상화폐에 비하여 인플레이션에서 자유로운 편입니다.
▶ 거래 수수료
비트코인은 아직까지도 거래 수수료에 대해 명확한 기준이 없으며 채굴자 그리고 거래소에 의해서 수수료가 정해지게 됩니다 하지만 리플은 약 1% 정도의 수수료로 비트코인에 비하여 매우 저렴한 수수료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비분석 |
리플 |
비트코인 |
알고리즘 |
ECDSA |
SHA-256 |
거래확인시간 |
약70분 |
약5-10초 |
채굴 |
불가능 |
가능 |
탈중앙화 |
중앙화(P2P) |
탈중앙화 |
비트코인 시황 및 정보 무료보러가기:https://t.me/BIT_DTR
비트진단
You can view and join @BIT_DTR right away.
t.me
리플 시세 리플 가격 및 발행량
리플코인의 가장 큰 장점은 초반에 발행되고 더 이상 발행이 되지 않는 한정적인 개수라는 것에 큰 장점이 있을 것입니다.
이는 다른 가상화폐들과 다르게 예측 불허한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초기에 약 1천억 개가 발행이 되었으며, 한 건의 거래(transaction) 당 약 0.00001 xrp를 수수료로 지불하게 됩니다. 타 가상화폐들과 달리 금융 거래 목적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RTS)로서 기존 은행이 외환송금 방식인 SWIFT의 대체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앙화를 통하여 통제하고 리플사에서 직접 관리하는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2017년 개발사는 약 62%에 달하는 코인을 보유하고 시장 유통량은 약 38% 정도였지만, 2021년 기준 리플은 발행된 화폐 중 약 50% 정도에 근접하는 유통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참여 중인 금융기관은 약 75개 정도이며, 일본의 메이저 은행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기도 하였습니다. 채굴자에 의해서 유통되고 시세가 결정되는 비트코인과 달리 리플사에서 직접 중앙화된 시스템으로 관리하여 한정적인 수량으로 인하여 가치는 상승하나 인플레이션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리플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리플코인(xrp)은 2017년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에 상장이 되어 처음 거래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코인원, 업비트 등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이 되었습니다. 2017년 6월경 약 800원의 시세를 분출하였으며, 이듬해인 2018년에는 약 4600원에 달하는 시세를 보여주기도 하였습니다. 그 후 약 2021년에는 2400원까지 치솟기도 하였습니다. 시가총액은 약 411억 8905만 달러로 토큰 당 가격은 약 1.06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리플 전망 2023 리플 호재
- 리플 전망 2023년
리플코인은 다른 가상화폐들과 다르게 금융기관의 거래를 위한 디지털 화폐로서 차이점을 보이고 실제로 일본의 메이저 은행 등 세계은행 등이 파트너사로 참여 중이기에 앞으로 리플이 가진 기술력과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리플사는 전 세계의 금융기관들이 빠르고 안전하며 제약이 없는 송금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은행들은 국가 간 결제를 이용 시 SWIFT(스위프트)라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국제송금을 이용하여 왔으나, 스위프트가 가진 처리시간 및 높은 수수료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경쟁상대로 스텔라루멘이라는 암호화폐가 존재하기는 하나 아직까지 리플의 기술력과 시장성을 따라잡기에는 매우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은행권에서 사용 중인 SWIFT (국제 송금 시스템)을 두고 안전성과 보안성 그리고 처리 시간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차세대 기술로 활용이 가능한 리플의 활용 방안을 놓고 치열하게 대립 중입니다. 영국의 유로엑심뱅크의 경우 은행 최초로 국가 간 결제 시스템으로 리플을 채택하여 사용 중에 있습니다. 또한, 리플이 가지고 있는 xCurrent 시스템은 은행이 가지고 있는 기존 인프라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가 가능하다는 부분에 있어서 매우 큰 매리트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3년 리플 호재
즉, 기존의 가상화폐 거래소 가지고 있던 단점인 무기명 거래와 자금 세탁 및 금융법 위반과 같은 문제를 보완하고 실제 화폐와 가상화폐의 bridge(연결고리) 역할을 할 수 있기에 리플이 가진 잠재력은 어마 무시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리플은 리플사가 직접 유통하고 관리하는 구조로 그 개수는 한정적이기에 인플레이션 상승이 아닌 실질적 가치 상승의 기회가 매우 높기에 앞으로의 시장에서 리플의 전망은 매우 높게 평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시중 은행들이 리플 통화를 수락하고 사용하게 된다면 약 2025년에는 $400 달러 부근까지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듯 리플 호재가 매우 기대됩니다.
리플 투자 방법
CFD(Contract for Difference)란 실제 기초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가격변동을 이용한 차익을 목적으로 매매하며, 진입가격과 청산가격의 차액을 당일 현금 정산하는 장외 파생상품 거래를 의미 CFD를 최초 도입한 영국을 비롯하여 독일, 호주 등 해외 주요국에서는 거래가 활발하게 진행합니다.
국내에서도 개인전문투자자 자격 요건의 완화 등으로 최근 들어 주요 증권사들이 경쟁적으로 CFD 서비스를 도입합니다. 매수 및 매도 양방향 포지션 보유가 가능하고, 진입시점의 가격과 청산시점의 가격 간의 차이에 CFD 계약 수량을 곱해 이익 및 손실 금액을 계산합니다.

비트코인 시황 및 정보 무료보러가기:https://t.me/BIT_DTR
비트진단
You can view and join @BIT_DTR right away.
t.me
출처:https://kr.mitrade.com/crypto/invest-in-cryptocurrency/what-is-ripple